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컴퓨터 프로그램

by dailymy 2022. 9. 20.
반응형

1.6 컴퓨터 프로그램


데이터를 처리하여 정보를 얻는 데는 반드시 컴퓨터를 이용한 처리과정이 있는데, 이 처리과정에 필수적으로 요구되는 것이 프로그램에 따른 제어(control)라고 할 수 있다. 즉, 컴퓨터 시스템에서 발생하는 입력과 처리, 그리고 출력 등의 동작은 정해진 양식에 따라 제어되어야 하며, 이러한 제어 작업은 컴퓨터 프로그램을 통해서 수행된다.

컴퓨터 프로그램은 주기억장치에 저장된 일련의 명령어로서 컴퓨터 시스템에서 어떤 처리 동작이 일어나야 하는지를 명시한다. 예를 들면 숫자를 더하거나, 곱하거나, 입력장치에서부터 주기억장치로 데이터를 읽어 들이거나, 데이터를 인쇄하는 등의 명령어가 있다. 물론 이 밖에도 더 많은 명령어들이 있다. 컴퓨터 시스템으로 하여금 데이터를 처리하게 하는 이러한 명령어들은 처리가 올바르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적당한 순서로 배열되어야 하며, 컴퓨터 프로그래머는 이 명령어들을 사용하여 프로그램을 작성한다.

또한, 앞에서 기술한 프로그램과 컴퓨터 시스템의 세 가지 동작들은 모두 데이더의 처리를 포함하고 있다. 그러므로 데이터의 개념을 자세히 알아두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고 볼 수 있다.

네이터란 사실 및 개념 또는 명령을 사람이나 자동 기계가 통신 • 해석, 그리고 처리하기에 직진한 형태로 표시한 것이다. 예를 들면, 학생이 과목에서 취득한 점수, 근로자가 1주일 동안 일한 시간, 서울에서 제주도로 가는 비행기의 운항 번호 등이다. 앞 절에서도 언급했듯이, 컴퓨터 시스템의 목적은 데이터를 받아들이고 처리하며, 그리고 처리의 결과를 유용한 정보 형태로 출력하는 것이다. 이러한 프로그램과 데이터의 전형적인 응용 예를 보기로 하자.

컴퓨터 시스템에서 이러한 구성요소들이 어떻게 작동되는지를 보기 위해서, 학교에서 학생들의 성적 및 평점 평균을 계산하는 프로그램을 생각해 보자. 각 학생에 대한 데이터는 주기억장치 내로 읽힌다. 이 데이터에는 학생의 이름, 각 과목의 번호, 각 과목의 성적이 포함된다. 프로그램은 학생의 평점 평균을 계산하여 성적표라는 보고서를 인쇄한다. 이 보고서를 만들어 내기 위해서 그림 1 이과 같이 다음 각 단계별로 일련의 처리과정을 거친다.

① 학생에 의해 마크된 기말시험 (객관식 시험)의 답안지가 OMR 판독기를 통해 컴퓨터 내부로 읽힌다.

② 중간시험, 과제물 혹은 출석수업 시험의 성적은 채점자들이 키보드를 통해 직접 컴퓨터 내부로 입력한다.

③ 기억장치에 저장된 데이터는 역시 기억장치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을 통해 처리되어 성적 합계나 평점 평균 등이 계산된다.

④ 계산된 결과는 학업성적표에 출력되거나, 이미 저장된 다른 파일들을 갱신하기 위해 사용된다.

위의 예에서 입력, 처리, 출력의 모든 요소가 사용된다. 이것은 단순화한 예지만, 실제로 모든 컴퓨터 시스템은 이러한 단계를 거치면서 컴퓨터 프로그램의 제어 하에 의미 있는 처리를 하게 된다.

반응형

댓글